주제별

상세검색1

저축운동

1964년 제1회 '저축의날'을 만들고 적극적인 국민저축운동을 벌여나갔다. 1970년 정부는 [저축증대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저축추진중앙위원회를 전국으로 확대했다. 저축운동은 경제개발계획 초기 기업의 자금조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참고:국가기록원)
7
  • 1977.10.22.농어촌저축경진대회
  • 1978.10.13.저축생활화촉진대회
  • 1978.10.13.저축생활화캠페인
  • 1978.10.13.저축생활화캠페인
  • 1987.01.27.저축추진협의회
1977.10.22 766

자연보호운동

1970년대 산업과 도시가 발전하고 자연파괴가 심화되면서 1977년 11월 국무총리 소속 자연보호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78년 내무부에 자연보호전담기구가 설치되었고, 같은 해 10월 '자연보호헌장'이 선포되었다. 당시 지역에서 이루어진 자연보호캠페인, 자연정화운동 모습이다. 이후 폐기물 발생량이 급증하고 매립지 확보가 곤난해지자 폐기물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자원 절약과 환경보전을 도모하기위해 1992년 [자원의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 시기 전후 자연보호운동은 재활용 수집, 쓰레기감량운동으로 변화했다.(참고:한국민족문화대백과,두산백과)
51
  • 1977.11.05. 자연보호캠페인
  • 1977.11.05. 자연보호캠페인
  • 1977.11.05. 자연보호캠페인
  • 1977.11.05. 자연보호캠페인
  • 1977.11.05. 자연보호캠페인
1977.11.05 3,297

을지훈련

을지훈련은 국가비상사태에 대처하기 위해 정부가 종합적으로 비상대비업무를 수행하는 훈련이다. 이 훈련은 1968년 청와대 무장공비 침투사건을 계기로 시작되었으며, 비정규전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향상을 위해 실시했다. 1975년 전 중앙행정부서와 시∙도 기관이 참가했고, 1976년에는 군사연습과 통합 실시하여 범정부 차원의 훈련으로 발전했다.(참고:한국민족문화대백과)
57
  • 1977.11.28. 총력안보77 을지자체연습
  • 1977.11.28. 총력안보77 을지자체연습
  • 1977.11.28. 총력안보77 을지자체연습
  • 1977.11.28. 총력안보77 을지자체연습
  • 1977.11.28. 총력안보77 을지자체연습
1977.11.28 1,935

민방위훈련

1975년 [민방위기본법]이 제정되면서 민방위대가 창설되었다. 전쟁과 재해∙재난으로부터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 지도 하에 시행한 훈련이다.
50
  • 1978. 민방위대연습
  • 1978. 민방위대연습
  • 1978. 민방위대연습
  • 1978. 민방위대연습
  • 1978. 민방위대연습
1978.01.01 1,699

병무행정

1978년 징병검사장 모습이다. 징병검사, 병적부 서류관리 등 병무행정 일부를 읍면동에서 수행했었는데, 1999년 [병역법]이 개정되면서 읍면동 병무조직이 폐지되었다.
4
  • 1978. 징병검사장
  • 1978. 징병검사장
  • 1978. 징병검사장
  • 1978. 징병검사관 격려
1978.01.01 176

반공과 안보, 통일운동

'한국반공연맹'은 1964년 [한국반공연맹법]이 시행되면서 반공활동의 지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이 연맹은 반공자료 조사와 연구, 반공요원의 교육과 훈련, 각종 반공사업을 추진했는데, 사진은 읍면을 순회하며 안보강연했던 모습을 기록하고 있다. 이후 공산주의국가 해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1989년 [한국반공연맹법]이 폐지되고, '한국반공연맹'은 '한국자유총연맹'으로 개편∙창립되었다. 1989년 9월 노태우대통령의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을 시작으로 남북 교류협력 활성화가 모색되었고, 이무렵 민간분야 통일운동 행사가 진행되기 시작했다.(참고:두산백과)
45
  • 1978.02.24. 78안보순회 강연회
  • 1978.03.24. 안보강연회(반공연맹)
  • 1978.04.22. 안보강연회(반공연맹도지부)고전면
  • 1978.04.22. 안보강연회(반공연맹도지부)고전면
  • 1978. 반공연맹지부행사
1978.02.24 1,0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