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 길잡이

귀농·귀촌·귀향 이란?

귀농

농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농업인이 아닌 사람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농업인이 되기 위하여 농촌지역으로 이주한 사람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하기 직전에 농어촌 외의 지역에서 1년 이상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이 되어 있던 사람이 농업인이 되기 위하여 농촌지역으로 이주한 후 주민등록법에 따른 전입신고를 하고 농업경영체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농업 경영체에 등록한 사람

귀촌

농어촌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는 농업인이 아닌 사람이 농어촌 지역에 자발적으로 이주한 사람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람

*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하기 직전에 농어촌 외의 지역에서 1년 이상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이 되어 있던 사람으로서 농어촌 지역으로 이주한 후 전입신고를 한 사람
단, 군 복무, 학업, 직장으로 인한 일시적 이주자, 귀농인 제외

귀향

하동군에서 태어나서 10년 이상 군에 등록기준지 또는 주민등록을 두었던 사람으로서 군 외의 지역에서 5년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다가 군으로 전입한 사람


성공적인 귀농귀촌을 위한 STEP 7

Step1

귀농귀촌 정보를 수집하자!

농업 관련 기관과 단체, 농촌 지도자, 선배 귀농인을 방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합니다.

TIP
  • 홈페이지
  • 관련 우수사례
  • 상담전화
Step2

가족들과 충분히 의논하자!

가족들과 귀농귀촌 결심에 대한 충분한 의논 후에 동의를 얻습니다.

Step3

어떤 작물을 기를까?

자신의 여건과 적성, 기술수준, 자본능력 등에 적합한 작목을 신중하게 선택합니다.

TIP
  • 품목별 출하지역
  • 재배적지
  • 관련 우수사례
Step4

영농 기술을 습득하자!?

귀농귀촌 자체교육을 포함한 귀농자 교육프로그램과 귀농에 성공한 농가 견학, 현장 체험들을 해 충분히 영동기술을 배우고 익힙니다.

TIP
  • 귀농·귀촌 자체교육
  • 온라인 교육
  • 오프라인 교육정보
  • 관련 우수사례
  • 작목 종합 정보
Step5

어디서 정착할까?

자녀교육 등 생활여건과 선정된 작목에 적합한 입지 조건이나 농업여건 등을 고려하여 정착지를 물색하고 결정합니다.

TIP
  • 재배적지
  • 웰촌
  • 관련 우수사례
Step6

주택과 농지를 확인하자!

주택의 규모와 형태, 농지의 매입 여부를 결정한 뒤 최소 3~4군데를 비교 후 선택합니다.

TIP
  • 농지은행
  • 빈집정보
  • 지원정책(귀농인의 집, 체류형 농업창업지원센터 등)
Step7

영농계획을 수립하자!

농산물을 생산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을 때까지 최소 4개월에서 길게는 4~5년 정도 걸리므로 초보 귀농인은 가격 변동이 적고, 영농기술과 자본이 적게 드는 작목 중심으로 영농계획을 수립합니다.

TIP
  • 작목별 농작업 일정
  • 농산물 소득정보
  • 관련 우수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