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has been disabled. This site requires JavaScript for full functionality, please enable.
말려둔 찻잎 찌꺼기는 탈취제로 사용합시다.
화장실이나 냉장고 냄새가 많이 날 때는 우려먹고 말려 둔 찻잎 찌꺼기를 작은 망에 담아 넣어 두면 탈취 효과가 뛰어나 냄새 제거에 좋다.
화로에 해묵은 차를 태우면 집안의 나쁜 냄새를 없애고 습도도 조절하려는 조상의 지혜에서 나온 것이다.
우려먹는 차 찌꺼기는 화분의 비료로 이용합시다.
차를 우리고 난 찌꺼기는 화분의 비료로 사용하면 좋다.
아미노산 이외의 성분은 물에 녹지 않고 잎에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차 찌꺼기를 관상수나 화분에 주면 비료 대용으로 좋다.
말려둔 찻잎으로 장롱 속 곰팡이를 제거합시다.
장마철에 말려둔 찻잎을 망사주머니에 넣어 장롱속에 걸어두면 찻잎의 타닌 성분과 엽록소의 강력한 흡수력이 곰팡이 냄새를 없애 줄 뿐만 아니라, 은은한 향기가 옷에 배어 입을 때마다 기분까지 상쾌해진다.
우리고 난 찻잎으로 카페트 청소를 쉽게 합시다.
우리고 난 찻잎의 물기를 꼭 짜서 카펫 위에 고루 뿌려 3시간쯤 후에 찻잎을 이리 저리 굴려서 먼지나 세균을 흡착시킨 후, 찻잎은 청소기로 털어내고 카펫은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말렸다가 말아두면, 다음 겨울까지 깨끗하게 보관 할 수 있습니다.
생선손질과 보관에 녹차를 이용합시다.
생선요리에 차를 이용하면 차의 플라보놀 성분이 비린내를 없애고, 고기의 입자들 간의 밀착력을 더해 살이 단단해지며, 또한 생선뼈가 부드럽고 연해지면 소화력과 흡수력이 높아진다.
생선전, 생선회, 생선조림, 생선 말릴 때도 이용하면 담백한 맛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벌레 물린데에 바르면 해독과 진정작용에 도움을 줍니다.
야외에 놀러 갔을 때, 우려 마신 찻잎을 말려 두었다가 모깃불처럼 태우면 모기는 물론 성가시게 하는 각종 벌레들까지 얼씬하지 못한다.
모기나 벌레에 물렸을 때에는 차를 진하게 우려 물린 곳에 발라주면 해독작용과 진정작용으로 붓지도 않고 독성이 쉽게 풀린다.
우려먹은 차 찌꺼기로 부엌 세제로 사용합시다.
녹차를 우려 마시고 남은 찌꺼기 찻잎을 부엌 세제로 이용하면 차의 성분중 샤포닌이라는 성분 때문에 세균 감염을 억제해 수질의 오염도 막고 피부를 보호하여 준다.
프라이팬이나 냄비, 도마 등에 배인 나쁜 냄새도 제거해 준다.
야채나 과일을 씻을 때도 찻잎을 우렸다가 그 물로 헹궈주면 잔류된 농약도 제거된다.
찻잎으로 돼지고기 요리를 맛있게 합시다.
돼지고기를 절일 때 찻잎을 함께 넣으면 차 속의 플라보놀 성분이 좋지 않은 냄새를 없애 주고, 육질도 부드럽고 맛도 한층 좋아진다.
멸치볶음 요리에 차 찌꺼기를 이용합시다.
마시고 난 차로도 충분하며 프라이팬에 멸치와 같이 볶아 요리하면 멸치의 비린내가 나지 않는다.
차 찌꺼기를 베게로 이용합시다.
차찌꺼기를 햇빛에 말린 후 베개에 채워 넣어두면, 차향이 은은하게 나면서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