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크 증상은 없는지 중요한 손상은 없는지를 보면서 옷을 느슨하게 해주고 호흡하기 편하게 해 준다.
골절부위 뿐만 아니라 부근 관절도 움직이지 않게 한다. 팔 골절시는 일으켜 앉혀도 좋다.
출혈이 있으면 상처에 가제를 대고
탄력붕대로 지혈시킨다.
부목 위에 천(수건)을 놓든가 딱딱하지 않게 하여 고정시킨다. 몸과 부목 사이에 간격이 있으면 적당한 것을 끼워 넣는다.
부러진 팔 쪽에서 삼각건을 반대쪽 어깨에 맨다. 다른 삼각건으로 팔꿈치에서 몸에 묶어 고정시킨다.
L자형 부목을 대고 팔꿈치는 직각으로 고정하여 팔을 어깨에 맨다. 팔과 몸을 함께 묶으면 보다 잘 고정된다.
손가락에서 상완까지 이르는 부목을 이용하여 팔꿈치 상하를 묶는다. 팔을 구부린 채 고정할 때에는 손가락을 팔꿈치보다 높이 든다.
팔꿈치를 직각으로 굽히고 팔꿈치에서 손가락까지 부목을 댄다. 묶을 때에는 손바닥을 자기쪽으로 향하게 한다.
손끝에서 팔꿈치까지 부목을 손바닥쪽에서 댄다. 손바닥은 밑으로 향하게 하고 묶는다.
나무젓가락 등의 부목을 대 고정시킨다. 손가락을 따라 부목을 댄다.
볼 종이 (휴지말개)로 고정해도 된다.
발 외측에 겨드랑이 밑에서 발끝까지 부목을 댄다. 이어 양 발 사이에 모포(부목)를 넣어 양 발을 함께 묶는다.
발목, 무릎관절 모두 움직이지 않게 부목을 댄다.
아래그림은 하측에
넣은 경우
발목에서 엉덩이까 지 부목을 댄다.
아래는 무릎을 굽힌 채로 고정시킨 경우
가능하다면 신을 벗 기든가 가위로 오려 준다.
방석이나 목욕 타월로 고정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