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이란?

중독을 의미하는 addiction의 어원은 라틴어로 addicene이라고 한다. 이 말은 원래 동의하는 것, 굴복하는 것, 양도하는 것이라는 뜻이다. 흔히 중독과 매니아라는 말을 동의어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의학적으로 중독은 엄밀히 말해, 매니아와는 다른 장애이다.
충동조절장애와 물질사용장애라는 범주의 질환에 속한다. 그래서 중독은 지나치면 병원 신세를 지게 된다. 본인 스스로는 병이 아니라고 우겨도, 잘못하면 직업을 잃고 가정에서 갈등과 불화를 야기하여 본래의 기능만큼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장애인 것이다. 정신의학적인 중독증의 진단은 단순히 어떤 대상을 탐닉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의존성 내성 및 금단증상의 발현을 필요조건으로 한다.

인터넷 중독이란?

사이버 중독, 통신 중독, PC중독, 온라인 중독

충동조절장애, 병적인 인터넷 사용(Pathologic Internet usage)을 말하며 특징으로는 첫째, 인터넷은 체내로 흡수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 둘째 기존의 중독개념에서 원인물질을 영원히 끊는 것이 목적인데 비해 인터넷은 생활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완전히 끊을 수는 없다는 것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중독이란 과도한 통신, 인터넷 사용에 의해 현실세계에서의 사회적ㆍ가정ㆍ일상생활에 실제 어려움이 생겨 자신이나 주변사람들이 문제가 있다고 인식하게 되는 경우에 통상적으로 쓰인다.
인터넷 사용이 더 많은 사용을 해야 만족을 느끼게 되는 내성, 인터넷 사용을 중단하거나 감소하면 정신, 운동적인 초조나 불안, 혼은 인터넷에 대한 강박적 사고나 환상(또는 백일몽)과 같은 증상이 일어나는 금단, 이와함께 인터넷 사용을 위해서 중요한 사회적, 직업적, 활동이 포기되는 사태가 12개월 중에 발생할 시에 이를 인터넷 중독 장애라고 일컫는다.

인터넷 중독의 분류

사이버 중독에 대한 분류는 학자에 따라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범주로 나누어 보면 통신 중독, 게임중독 및 음란물중독으로 나눌 수 있다.

통신중독

정보이용자가 대화방, 머드게임, 동호회 등의 순서로 인터넷을 과도하게 즐겨 전자우편이나 정보검색을 주로 이용하는 일반인들과 달리 현실도피의 수단으로 사이버 공간에 빠져드는 것을 뜻한다.

게임중독

게임은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유익한 면이 있지만 지나친 게임은 중독증을 유발하는 심각한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음란물 중독

특히, 청소년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 중독으로 청소년기에는 성에 대한 호기심이 왕성한 시기이므로 인터넷을 통한 음란물 중독이 발생할 수 있다.

인터넷 중독 해결책은?

사이버 공간의 몰입 원인을 알아야 한다.

청소년기는 정체성을 획득해나가는 과정에서 가치관의 혼란을 겪게 되며 사이버 공간이라는 비정형적이고 빠른 공간이 제공되면서 그 혼란은 더 커질 수 있다.
또 가출, 도벽, 등교 거부 등의 청소년기의 반항적 행동, 일탈행위가 청소년기의 질풍노도와 같은 성장통의 하나이거나, 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의 다른 표현, 가정내 갈등이나 불화의 외적 표현일 수 있듯이 사이버 공간에 몰입해 있는 청소년의 경우 가장 먼저 봐야하는 것은 다른 원인이 있는지 찾아보는 것이다.
사이버 공간에 들어가야만 편안함을 느낀다면 현실세계가 재미없고, 괴롭고, 칙칙하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있다면 어디에 있고 해결 가능한 것인지 알아보는 것이 무엇보다 먼저 해야 할 일이다.
사이버 중독이라고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부터 통제하려하면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십대 혹은 십대가 아직 안된 아이들의 경우에도 인터넷의 인터액티브한 측면에 쉽게 심리적으로 의존할 수 있다. 아이들은 인터넷 세상에 재빠르게 익숙해져 학교, 부모, 친구들로부터 받는 스트레스를 피하고 조금이나마 좋은 기분을 인터넷에서 느끼고 싶어한다.
불안하고 초조해지면 따뜻한 메일 하나, 채팅 방에서 처음 만난 익명의 친구들의 가벼운 위로 한마디에 금방 편안해지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런 편안함이 더욱 더 인터넷에 빠져들기 쉽게 한다. 만일 이런 문제 때문에 생긴 일이라면 원인이 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현상적으로 드러나는 사이버 중독을 해결하는 첫걸음이자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성인의 경우도 삶의 각박함, 우울감, 가정생활이나 사회생활의 불만족, 자신감의 저하를 사이버공간으로 도피해 잊어버리려는 것은 아닌지 따져보는 것이 필요하다.

인터넷 사용 내용을 작성해라.

  • 먼저 막연히 많이 하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말고, 실제로 얼마나 많은 시간을 사이버 공간에서 보내는지, 또 실제 어떤 일을 하는지 기록해본다. 간단한 표로 일주일 동안의 인터넷 사용시간표를 짜보고, 매일매일 방문하는 사이트를 기록한다.
  • 각각의 사이트에서의 활동이 나에게 얼마나 의미가 있는 일인지, 내 삶에 어떤 도움이 되는 것들인지 가중치를 매겨본다.
  • 다음에는 이전에 하던 것 중 인터넷을 많이 하면서 하지 않는 것들 (친구와 만나는 것, 영화보기, 독서)과 같이 지금은 전보다 적게 하거나 아예 하지 않는 잃은 것이 무엇인지 리스트를 만들어본다.
  • 그래도 미심쩍으면 주변 사람들에게 자신의 인터넷 사용패턴이 문제가 있지 않은지 물어보고 혹시 지나치다고 생각되면 언제든지 이야기해달라고 부탁한다. 알람시계나 스케줄 북을 만들어 인터넷 사용시간을 정해 조절하거나 외부의 통제장치를 만들어 인터넷에 몰입해 자칫 잃어버리게 될지도 모르는 내적 시간의 통제를 다잡는 것이 필요하다.

페이지담당
정신건강복지센터 (☎ 055-880-6670)
최종수정일
2021-03-02 11:55:55
만족도 조사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

평가: